티스토리 뷰
얼마 전 작은 딸아이와 함께 병원에 갔을 때, 지갑을 집에 두고 나와 신분증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적이 있습니다. 그 순간 '진료를 못 받으면 어쩌지?'라는 생각이 스치더군요. 그런데 막상 알아보니 신분증을 두고 와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었습니다. 특히 2024년 5월 20일부터 시행된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 이후, 신분증 확인 절차가 강화되면서 미리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입니다. 병원 신분증 없을때 이렇게 하면 됩니다.
모바일 신분증 및 모바일 건강보험증 활용
요즘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웬만한 일처리가 가능하듯이, 병원에서도 모바일 본인 확인이 가능합니다.
- 모바일 건강보험증: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공식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미리 앱을 설치하고 본인 인증을 해두면 병원 접수 시 QR코드만 보여주면 됩니다.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안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정부24, PASS 등 모바일 신분증: 정부24 앱의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나 통신 3사의 PASS 앱 내 모바일 운전면허증도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효력을 가집니다. 병원에서 문제없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신분증이 전혀 없을 때의 대처 방법
모바일 신분증을 준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일반(비급여) 진료로 우선 진료를 받고, 나중에 건강보험을 적용받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진료를 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신분증과 진료비 영수증을 해당 병·의원에 제출합니다.
- 건강보험 적용 금액으로 다시 정산이 이루어지며, 초과 납부한 진료비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본인 확인 예외 대상
모든 경우에 신분증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. 법적으로 예외가 인정되는 상황이 있습니다.
- 19세 미만 미성년자
- 응급의료에 해당하는 응급 환자
- 같은 병·의원에서 6개월 이내에 본인 확인 기록이 있는 재진 환자
- 거동이 현저히 불편한 자, 중증장애인, 장기요양자, 임산부 등
예를 들어, 최근 같은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기록이 있다면 신분증이 없어도 진료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.
정리
결론적으로 병원에 갈 때는 신분증을 지참하는 것이 원칙이지만, 만약 깜빡했다면 모바일 건강보험증이나 모바일 신분증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합니다. 그것마저 어렵다면 진료비를 우선 전액 납부한 뒤 14일 이내에 환급받는 방법을 활용하면 됩니다. 그리고 자신이 예외 대상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.
'HAHAH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방법 (홈택스, 손택스, ARS) (0) | 2025.09.11 |
---|---|
쿠팡 회원가입하기 간단합니다. (0) | 2025.09.11 |
민주당원 가입방법 안내 드립니다. (0) | 2025.09.10 |
큐넷 합격자발표조회 보는 방법 (0) | 2025.09.10 |
ctm 성경통독타자 활용하기 (0) | 2025.09.08 |
댓글